전기요금은 가정과 기업 모두에게 절감 여지가 큰 고정비용 중 하나입니다. 특히 여름과 겨울철에는 냉난방으로 인해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요금이 수직 상승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런데 많은 사용자는 자신이 얼마나 전기를 사용하는지, 어떤 시간대에 많이 쓰는지, 어떤 기기가 전기 소모량이 높은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지 못한 채 요금 고지서만 확인합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낭비가 반복되고, 효율적인 절약도 불가능해집니다.
필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전력공사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전력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간대별 전기 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요금 절감 방안을 자동 제안해주는 툴을 만들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누구나 쉽게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실시간 데이터 활용과 자동 분석이라는 기술적 가치도 함께 갖추고 있습니다.
한국전력공사(KEPCO) | 스마트미터 전력 사용량 | API (등록 필요) | 실시간 또는 일 단위 |
에너지마루 (에너지정보포털) | 시간대별 요금제 정보 | Open API | 주택/일반용/계절별 구분 |
기상청 | 실시간 기온 | REST API | 냉난방 영향 예측용 |
전력거래소 | 시간대별 전력 부하 데이터 | 오픈 API | 전력 수요 예측용 (고급 분석용) |
사용자는 한전에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설치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미터를 통해 자신의 실시간 사용량 데이터를 열람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API 연동 또는 Excel 파일 처리 방식이 모두 가능합니다.
00시 | 0.8 |
06시 | 1.5 |
09시 | 2.1 |
18시 | 3.7 |
22시 | 2.8 |
주택용 전기는 다음과 같은 요금 구간이 적용됩니다 (2025 기준):
전기는 보이지 않지만, 매일 우리 삶을 지배하는 자원입니다. 그 사용량을 수동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절감 방안을 스스로 제안받는다면 에너지 소비는 더욱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실시간 전력 사용 분석 툴은 단순한 데이터 뷰어를 넘어,
전기요금 구조, 사용 패턴, 시간대 요율을 함께 고려한 스마트한 생활 도우미 역할을 합니다.
향후에는 IoT 스마트 콘센트와 연동하여 기기별 제어 자동화,
AI 기반 예측 분석까지 더해져 개인 맞춤형 에너지 관리가 현실화될 수 있습니다.
전기차 충전소 위치 + 실시간 이용 가능 정보 자동 수집기 만들기 (0) | 2025.07.05 |
---|---|
자치구별 CCTV 설치 위치 공개 데이터 분석하여 안전지도 만들기 (0) | 2025.07.05 |
무료 와이파이 위치 데이터를 활용한 외부 작업장소 추천 시스템 만들기 (0) | 2025.07.04 |
공공 공사 알림 정보 자동 수집해 길막 예상 경로 표시 시스템 만들기 (0) | 2025.07.04 |
정부 지원금 공지사항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요약하는 정리봇 만들기 (0)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