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창업, 청년, 소상공인, 저소득층, 농어민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금을 정기적으로 공지합니다. 그러나 이 많은 공지사항은 각각 다른 기관, 다른 사이트, 다른 형식으로 흩어져 있으며, 내용이 복잡하고 길게 작성되어 있어 일반인은 쉽게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어떤 사람은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을 놓치고, 어떤 기업은 잘못된 정보를 근거로 지원 신청을 하기도 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자는 정부 지원금 관련 공지사항을 자동 수집하고 요약해주는 정리봇을 만들었습니다. 이 봇은 공공기관 사이트에서 지원사업 공지사항을 자동 수집하고, AI 요약 알고리즘을 활용해 핵심 정보만 정리해 줍니다. 본 글은 해당 시스템의 공공데이터 활용 방식, 자동화 구조, 실생활 적용 사례를 상세히 설명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시스템 목적:
복잡한 정부 지원금 공지사항을 자동으로 수집한 뒤, 핵심 정보(지원 대상, 신청 방법, 마감일, 예산)를 요약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봇을 구축한다.
작동 방식 요약:
아래는 실제 사용 가능한 주요 공공 정보 출처입니다:
정부24 (www.gov.kr) | RSS / HTML 크롤링 | 전체 행정기관 공지사항 통합 |
K-Startup (k-startup.go.kr) | JSON API 제공 | 창업 및 중소기업 대상 |
중소벤처기업부 | 고시문 및 공고문 페이지 | 주로 중소기업 정책 |
서울시 청년포털 | HTML | 청년 정책 전용 |
복지로 (www.bokjiro.go.kr) | REST API 일부 제공 | 복지 관련 지원금 다수 |
예시 1 – 청년 창업자 김씨:
김씨는 매일 정부24와 K-Startup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공고를 확인하곤 했습니다. 그러나 이 정리봇을 사용한 후에는 매일 아침 텔레그램으로 요약된 지원사업 3건을 자동 수신하게 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필요한 지원사업만 골라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시 2 – 소상공인 장씨:
장씨는 자영업자 대상 임대료 지원금, 온라인 판로 확대 지원 사업 등의 정보를 놓치기 쉬웠습니다. 이 시스템은 중기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시청 등 여러 출처의 정보를 통합하여 지역 + 업종에 맞춘 지원 공고 요약본을 제공함으로써 지원금 누락을 방지했습니다.
정부 지원금 공고는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정보지만, 복잡하고 흩어진 구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놓치고 있습니다.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와같이 필요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하여 활용한다면, 실제적인 삶에 많은 도움이 될것입니다.
본 글에서 소개한 정부 지원금 정리봇 시스템은 공공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정보의 접근성과 활용도를 극대화한 자동화 솔루션입니다.
또한 사용자가 실질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실제 활용한다면 사회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분들께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것입니다.
무료 와이파이 위치 데이터를 활용한 외부 작업장소 추천 시스템 만들기 (0) | 2025.07.04 |
---|---|
공공 공사 알림 정보 자동 수집해 길막 예상 경로 표시 시스템 만들기 (0) | 2025.07.04 |
아파트 실거래가 자동 추출 시스템으로 평당가 비교표 만드는 방법 (0) | 2025.07.03 |
공공 체육시설 예약 데이터를 활용한 헬스장 자동 추천 시스템 만들기 (0) | 2025.07.02 |
오늘 문 연 병원, 자동으로 찾는 시스템 만들기 (공공데이터 기반) (0)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