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지역 내 창업 지원 프로그램 일정 자동 정리 시스템 만들기

공공데이터

by contributor-news1 2025. 7. 6. 23:45

본문

 

 

창업 정보, 왜 매번 찾아야 하나요?

 

대한민국은 현재 정부 주도로 다양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창업 진흥원', '중소벤처기업부', '지자체 창업센터', '창업 카페', '청년창업사관학교' 등의 이름을 들어봤을 것이다. 이들 기관은 창업 교육, 창업 자금, 공간 지원, 멘토링, IR(투자 유치)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제공하고 있지만, 문제는 이러한 정보가 한 곳에 통합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예비 창업자는 매번 여러 사이트를 직접 방문해 접수 일정, 교육 날짜, 장소, 대상 자격, 신청 방법 등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중요한 지원 기회를 놓치기도 한다. 이런 정보의 단절과 시간 낭비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지역 내 창업 지원 프로그램 일정 자동 정리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정부 및 지자체에서 공개하는 창업 관련 공고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이를 일정 중심으로 통합·분류해 사용자가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돕는 정보 자동화 시스템이다.

 

창업 지원 프로그램 정보 일정 자동 정리 시스템, 공공 데이터 활용
공공데이터의 활용

시스템 구현을 위한 공공데이터와 기술 구성

 

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창업 관련 공공 포털에서 데이터를 자동 수집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주요 출처로는 창업진흥원(K-startup), 중소벤처기업부, 각 지역의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창업지원센터, 각 시도청 홈페이지, 공공데이터포털 등이 있다. 예를 들어, K-startup 플랫폼은 창업 교육, 정부지원사업, 창업경진대회, 공간 지원 등 다양한 공고를 공개하고 있으며, 대부분 웹상 공지 형태로 게시된다. 이 정보를 자동 수집하려면 Python의 requests, BeautifulSoup, 또는 selenium을 활용한 크롤링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일부 기관은 RSS나 Open API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므로, 가능한 경우 정식 API를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안정성과 속도 측면에서 유리하다. 데이터를 수집한 후에는 pandas를 이용해 일정, 제목, 장소, 신청 기간, 주최기관, 신청 링크 등으로 정리하며, 날짜 기준 자동 정렬 및 지역 필터링 기능을 추가하면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일정 정리표가 된다. 특히 사용자 위치 기반으로 10~30km 이내의 창업 프로그램만 선별해 보여주는 기능을 포함하면 더욱 실용적인 시스템이 된다.

 

 

자동화된 창업 일정 관리, 사용자는 어떻게 활용하나?

 

이 시스템의 핵심 가치는 ‘정보 탐색 시간의 절약’이다. 예비 창업자는 단순히 ‘서울시 예비창업자 대상 프로그램’, ‘대전 청년 창업 공간 입주신청’, ‘경기 창업 자금 지원 설명회’ 등의 키워드만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위치, 창업 분야, 창업 단계(예비·초기·도약 등), 선호 기관 등의 조건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조건에 맞는 창업 지원 일정만 골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울 거주, IT 예비 창업자, 공간 지원 관심’이라고 입력하면, 서울 소재 창업허브나 구청 창업지원센터에서 열리는 공유오피스 지원 프로그램, 팁스 프로그램 설명회, 입주 설명회 등의 정보를 우선 보여주는 방식이다. 또한 신청 마감일이 다가오는 순서대로 일정을 정렬하거나, ‘오늘 기준으로 이번 주 내 접수 마감’이라는 알림 기능을 설정하면, 중요한 일정을 놓치지 않도록 자동으로 푸시 알림 또는 이메일 알림을 받을 수도 있다. 이는 단순히 정보 제공을 넘어서 사용자 행동을 유도하는 단계까지 발전한 형태다.

 

 

확장성과 실질적인 기대 효과

 

이 시스템이 실제로 구현되면 예비 창업자는 매일 또는 매주 반복되는 정보 탐색 과정에서 해방된다. 동시에 창업 관련 기관은 더 많은 예비 창업자에게 도달할 수 있고, 지원 사업의 모집률도 향상된다. 특히 지방 거주 청년 창업자나 1인 창업자처럼 창업 정보 접근성이 떨어지는 사용자에게는 이 시스템이 디지털 격차 해소 도구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이 시스템은 단순한 일정 확인 기능에서 더 발전해, 사용자가 참가한 이력까지 저장하고 이후 지원 가능한 연계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창업 여정 기반 큐레이션 도구’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매년 반복되는 창업 지원 사업의 패턴을 학습하여, 다음 분기 또는 다음 해의 예상 일정까지 미리 보여주는 기능도 가능하다. 기술적으로는 웹 앱 형태의 대시보드 구현도 가능하며, streamlit, flask, 또는 node.js 등을 활용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처럼 공공데이터와 기술의 융합을 통해 창업 생태계를 더 효율적이고 투명하게 만드는 구조는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파급력을 가질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단순한 아이디어를 넘어 정보 격차 해소, 행정 효율성 증가, 창업 성공률 향상이라는 명확한 목표와 결과를 가진다.

 

 

시스템 개요

이 코드는:

  • 창업 지원 프로그램 공고 정보를 K-Startup 웹사이트에서 자동 수집하고
  • 제목, 지역, 접수기간, 상세 링크 등의 정보를 추출하며
  • pandas로 정리 후, CSV 저장 또는 출력까지 자동화합니다.

사용하는 기술 스택

기능 사용 모듈

웹 페이지 데이터 수집 requests, BeautifulSoup
데이터 정리 및 저장 pandas
날짜 필터링 datetime

사전 준비

1. 설치할 라이브러리

pip install requests beautifulsoup4 pandas

1단계: 창업 프로그램 리스트 크롤링 코드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import pandas as pd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def crawl_kstartup_programs(pages=1):
    base_url = "https://www.k-startup.go.kr/web/contents/bizpbanc-ongoing.do"
    program_list = []

    for page in range(1, pages + 1):
        params = {
            "page": str(page)
        }

        res = requests.get(base_url, params=params)
        soup = BeautifulSoup(res.text, "html.parser")
        items = soup.select("ul.list > li")

        for item in items:
            title_tag = item.select_one(".tit")
            link_tag = item.select_one("a")
            date_tag = item.select_one(".date")
            region_tag = item.select_one(".etc")

            if not (title_tag and link_tag and date_tag):
                continue

            title = title_tag.get_text(strip=True)
            url = "https://www.k-startup.go.kr" + link_tag.get("href")
            dates = date_tag.get_text(strip=True).replace("접수기간 :", "")
            region = region_tag.get_text(strip=True) if region_tag else "전국"

            program_list.append({
                "제목": title,
                "접수기간": dates,
                "지역": region,
                "링크": url
            })

    return pd.DataFrame(program_list)

2단계: 접수 마감 필터링 기능 추가

def filter_upcoming_programs(df):
    today = datetime.today()

    def is_valid(date_str):
        try:
            end_date = date_str.split("~")[-1].strip()
            end_date_obj = datetime.strptime(end_date, "%Y-%m-%d")
            return end_date_obj >= today
        except:
            return False

    filtered_df = df[df['접수기간'].apply(is_valid)].copy()
    return filtered_df.reset_index(drop=True)

3단계: 실행 예시

def run_system():
    print("창업 지원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 중입니다...")
    df = crawl_kstartup_programs(pages=3)  # 최대 3페이지까지 수집
    upcoming_df = filter_upcoming_programs(df)

    # 결과 저장 및 출력
    upcoming_df.to_csv("startup_programs.csv", index=False)
    print(f"총 {len(upcoming_df)}건의 예정된 프로그램을 발견했습니다.")
    print(upcoming_df.head())

if __name__ == "__main__":
    run_system()

실행 결과 예시

제목 접수기간 지역 링크

2024 청년 창업 공모전 2024-07-01 ~ 2024-07-30 대전 https://www.k-startup.go.kr/...
ICT 기반 창업 교육 모집 2024-06-25 ~ 2024-07-15 경기 https://www.k-startup.go.kr/...

확장 아이디어

  • 지역 선택 필터 추가: 사용자의 위치 기준(서울/경기 등) 자동 분류
  • 이메일 또는 텔레그램 자동 알림: 매주 월요일 자동 안내
  • Streamlit을 이용한 웹앱화: 버튼 하나로 조건 설정 및 출력

요약

이 코드는 실제 동작 가능한 실용 예제이며, 정리된 창업 지원 프로그램 데이터를 활용하여:

  • 블로그 콘텐츠 자동 생성
  • 카카오톡 챗봇 연결
  • 창업 커뮤니티 플랫폼과 연동

하는 등 다양한 확장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